2024.03 Jensen Huang, NVIDIA 창립자 겸 CEO, at Standford Talks
https://youtu.be/lXLBTBBil2U?si=aewDomeQyoCRjV0Y
유튜브 Standford Graduate School of Business에 올라온 젠슨 황 인터뷰 영상을 정리한 글입니다.
NVIDIA의 CEO인 젠슨 황의 이야기를 통해 혁신과 리더십의 중요성을 엿볼 수 있습니다. 창업 과정에서 어려운 선택을 하면서도 단순한 기본 원칙에 충실하려고 애쓰며, 미래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 기술과 협업의 가치를 강조합니다. 그는 성공의 조기 지표와 핵심 성과 지표를 통해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하며, 직면한 도전 속에서도 자신의 비전을 고수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특히, AI 기술의 발전과 기업 문화의 혁신을 통해 변화하는 산업에 대응하는 그의 시각은 많은 이들에게 영감을 줄 것입니다. 이 영상은 기술 혁신을 이끄는 리더가 어떻게 미래를 설계하는지를 보여줍니다.[1]
1. 서론 🌟 젠슨 황의 창업 동기와 초기 경험
- 젠슨 황은 LSI Logic에서 성공적인 경력을 쌓았으나 파운더가 되기 위해 회사를 떠나기로 결심했다 .[1-6]
- 그의 결정에는 크리스(CB)와 커티스가 큰 역할을 했다는 것이 드러난다 .[1-8]
- 당시 젠슨 황은 Sun의 크리스와 커티스와 함께 컴퓨터 과학의 주요 인물들과 협력하며 일했으며, 그들은 어떤 회사를 떠나고 젠슨이 새로운 회사를 창업하도록 설득했다 .[1-10]
- 젠슨 황은 과거에 Denny's라는 식당에서 식기 세척기으로 일했으며, 이는 그의 첫 직장 경험이었다 .[1-12]
2. 🚀 NVIDIA의 혁신적 접근과 시장 창출 과정
- 1993년에 마이크로프로세서 혁명을 의식하며 특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컴퓨터를 개발하는 목표로 회사를 설립하였다. 이 목표는 현재까지도 NVIDIA의 핵심 미션으로 남아 있다. [2-5]
- 3D 그래픽 기술과 비디오 게임 시장의 융합이 NVIDIA의 첫 번째 성공적인 결정이었으며, 당시 비디오 게임 시장의 규모가 10억 달러에 달했다. [2-52]
- 마이크로소프트의 Direct 3D 기술 등장으로 수많은 경쟁자가 생기자, NVIDIA는 OpenGL 기술을 도입해 경쟁력을 확보하였다. 이 과정에서 회사는 기술과 시장을 함께 창출하는 것이 중요함을 깨달았다. [2-79]
- NVIDIA는 인공지능(AI)과 다른 응용 분야에서도 기존의 컴퓨터가 할 수 없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며, 프로그래머블 셰이더 및 GPU를 개발하였다. 이는 회사의 미래 비전을 확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2-121]
- 창립 초기 시장이 부재했던 동안에도 초기 성공의 지표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는 신념으로 과학적이며 의미 있는 프로젝트를 지속적으로 선택하였고, 이를 통해 회사는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어갈 수 있었다. [2-146]
2.1. 마이크로프로세서 혁명과 NVIDIA의 비전
- 젠슨 황은 1993년 마이크로프로세서 혁명 시기에 NVIDIA를 창립하려는 비전을 제시했으며, 일반 컴퓨터가 해결할 수 없는 문제를 다루기로 결정했다. [2-1]
- NVIDIA는 이러한 미션을 지속적으로 추구하며, 컴퓨터의 계산 능력을 활용해 다양한 분야에서 문제 해결을 목표로 하고 있다. [2-5]
- 회사가 집중한 분야는 약물 디자인, 날씨 시뮬레이션, 재료 디자인 등으로, 각 분야에서의 성과에 자부심을 느끼고 있다. [2-6]
- 로봇 공학, 자율주행차, 그리고 현대의 AI를 가능하게 한 소프트웨어 개발 혁신도 NVIDIA의 주요 기술 성과로 언급되었다. [2-8]
- 궁극적으로, NVIDIA는 기술의 발전 덕분에 소프트웨어가 스스로 작성되는 방식으로 변화하게 되었다고 강조하고 있다. [2-10]
2.2. 비즈니스 전략과 시장 창출의 중요성
- 젠슨 황은 사업계획서를 작성하는 방법이 담긴 책을 통해 비즈니스 소양을 쌓으려 했으나, 막대한 분량으로 인해 독서 시기를 고민하게 되었다 .[2-18]
- 사업 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그는 스스로의 경험과 과거를 최대한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하였으며, 실패한 인터뷰를 극복할 수 있다는 점을 배웠다고 언급했다 .[2-36]
- 그의 첫 번째 주요 결정은 3D 그래픽스 기술을 활용하는 것과 관련되었으며, 이는 비디오 게임 분야에 적용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2-50]
- 당시 3D 그래픽스는 하드웨어 제작 비용이 막대했지만, 시장에는 10억 달러 규모의 기회를 가졌다고 강조했다 .[2-54]
- NVIDIA는 기술과 시장을 함께 창출해야 한다는 철학을 가지고 있으며, 자율주행 및 딥러닝 분야에서도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고 설명하였다 .[2-74]
2.3. 기술 경쟁과 도전
- 마이크로소프트가 도입한 Direct 3D 표준으로 인해 수백 개의 기업과 경쟁하게 되었다. [2-79]
- 회사가 개발한 소비자용 3D 그래픽스 기술이 DirectX 3D와 호환되지 않게 되었다. [2-81]
- 초기 회사의 기술이 백만 달러 규모로 시작됐으나, 곧 호환성 문제로 회사를 재편하거나 파산해야 하는 위기에 직면했다. [2-82]
- 마이크로소프트가 정의한 방법으로 기술을 구축하는 방법을 알지 못하는 상황이었다. [2-86]
- 당시 89개의 경쟁자가 생기면서 위기감이 높아졌고, 해결책을 찾기 위한 논의가 필요했다. [2-87]
2.4. 미래를 정의하는 혁신적인 접근법
- OpenGL 매뉴얼을 구매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그래픽 파이프라인 구현은 회사에 자신감을 주었다. [2-92]
- 아무리 잘 알지 못하는 분야라 하더라도, 새로운 것을 창조할 수 있다는 믿음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2-102]
- 창조적인 접근법을 위해 기본 원칙으로 돌아가며, 현재의 조건과 도구를 고려하여 재창조하는 방법을 탐구해야 한다. [2-108]
- 소프트웨어 개발 방식의 변화와 기술적 진보는 혁신적인 기회를 제공한다는 것을 주장한다. [2-110]
- 성공 속에서도 전략을 변경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전한다. [2-114]
2.5. NVIDIA의 혁신과 미래 예측력
- NVIDIA는 새로운 방식의 컴퓨팅을 선도하며, 이미지 처리와 같은 다양한 응용 분야를 탐구했다. 이러한 혁신을 통해 프로그래밍 가능한 쉐이더를 포함한 여러 기술 발전이 이루어졌다 .[2-116]
- CPU와 일반적인 컴퓨팅의 한계를 인식하고, 더 복잡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컴퓨터를 만들겠다는 핵심 신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은 지속 가능한 시장이 존재해야 가능하다고 강조된다 .[2-141]
- 성공의 초기 지표를 찾고 이를 통해 올바른 방향성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NVIDIA는 KPI 대신에 미래 성공의 초기 징후(Early Indicators of Future Success, EFS)를 따르는 시스템을 운영한다 .[2-164]
- 중요한 작업의 의의를 찾지만, 금융적 수익이 보장되지 않는 상황에서도 연구와 개발을 지속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근거는 시장 크기보다는 작업의 중요성에서 찾을 수 있다 .[2-180]
- 딥러닝과 같은 프로젝트는 특정 문제가 해결될 수 있는 초기 신호가 되며, NVIDIA는 혁신을 통한 변화를 만들어내고자 한다 .[2-191]
2.6. 어려운 시기에 회사 경영 및 직원 동기 부여
- 젠슨 황은 회사가 80%의 시장 가치를 잃은 경제 위기 속에서도 직무를 지속적으로 수행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2-196]
- 경제적 하락에도 불구하고 핵심 원칙을 지속적으로 점검하며 자신의 신념에 따라 업무를 재정비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2-209]
- CEO로서 직원들과의 소통이 중요하나, 어려운 상황 속에서 공적인 자리에 서는 것이 쉽지 않다고 언급한다. [2-222]
- 직원들은 자신의 리더십을 통해 어려운 시기에도 팀이 이탈하지 않았음을 확인하며, NVIDIA의 경영진이 세계 최고의 팀을 구성하고 있다고 강조한다. [2-238]
- 젠슨 황은 모든 팀원들을 천재로 묘사하며, 다양한 분야의 비즈니스 및 기술 팀이 뛰어난 성과를 올리고 있다고 주장한다. [2-241]
2.7. 혁신적인 조직 문화와 리더십 접근법
- 젠슨 황은 누구에게나 직무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모든 업무가 가치있다고 언급한다. 그는 자신이 dishwasher로 일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어떠한 작업도 자신에게 아래를 두고 있지 않다고 말한다. [2-251]
- 그는 자신의 의견을 공유함으로써 사람들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empowerment를 증진시킨다고 주장한다. [2-261]
- CEO가 많은 대직원을 두어야 한다고 강조하며, 이는 정보의 비밀이 권력의 원인이 되어서는 안 된다고 믿는다. [2-284]
- 제대로 된 정보 공유를 통해 모든 직원이 자신의 직무를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리더의 역할이라고 설명한다. [2-291]
- 투명한 정보 공유를 통해 직원들이 이해하고 스마트한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돕는다고 말한다. 그는 NVIDIA의 모든 직원이 매일 자신을 대신해 합리적인 결정을 내리는 것을 강조한다. [2-302]
3. 🤖 AI의 발전과 차세대 컴퓨팅
- 생성적 AI와 가속화된 컴퓨팅은 이제 주류 기술로 자리 잡았으며, 이는 정보 처리 방식에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3-2]
- 컴퓨터는 정보를 번역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되었으며, 이는 더 많은 생성적 컴퓨팅을 가능하게 한다 .[3-7]
- 두 가지 프로세스, 즉 정보 검색 기반 모델과 생성 기반 모델의 차별화가 필요하며, 후자는 새로운 애플리케이션과 처리 방식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3-20]
- 기업들이 CEO와의 관계를 통해 조직 구조를 다시 생각해야 하며, 과정이 아닌 결과 중심으로 사고할 필요가 있다 .[3-52]
- NVIDIA는 31년의 역사를 통해 인류에 독특한 기여를 하게 될 것이며, 이는 회사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있다 .[3-81]
3.1. AI와 정보 처리의 혁신
- 생성 AI와 가속화 컴퓨팅이 주요 기술로 자리잡으면서, 그 응용 분야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 .[3-1]
- 생성 AI는 다양한 데이터를 디지털화하고 이해하는 능력을 통해, 단순히 이미지를 번역하는 것에서 넘어가 정보의 생성을 가능하게 한다 .[3-4]
- 디지털화된 요소들 간의 상관관계를 통해, 서로 다른 정보 모달리티(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간의 이해와 번역이 가능해졌다 .[3-7]
- 이러한 기술 혁신이 정보 처리 방식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것임을 암시하고 있다 .[3-16]
- 과거의 경험을 바탕으로, 기술의 의미와 그 응용 가능성을 깊이 고민하는 과정이 중요하다고 언급하고 있다 .[3-14]
3.2. 미래 소프트웨어와 조직의 혁신
- NVIDIA는 칩과 시스템을 구축하며, 앞으로 소프트웨어 작성 방식이 근본적으로 달라질 것이라고 예측한다. [3-19]
- 과거의 정보 검색 기반 모델에서, 앞으로는 프롬프트(prompt)를 통해 정보를 생성하는 방식으로 변화할 것으로 보인다. [3-23]
- 기업가들은 어떤 산업들이 혼란을 겪을 것인지 질문해야 하며, 네트워킹 및 저장 방식도 새롭게 생각해야 한다. [3-35]
- 조직 구조는 과거의 계층적 방식에서 벗어나, 구성원들이 모든 것을 질문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방향으로 변화해야 한다. [3-45]
- 기업의 운영 방식을 첫 원칙부터 재정의해야 하며, CEO의 역할은 그에 적합한 조건을 조성하는 것이라고 강조된다. [3-60]
3.3. 미래를 설계하는 독창적 기여
- 젠슨 황은 내일에 대해 바꾸고 싶은 것이 하나만 있다고 생각하지 않으며, 많은 것을 통제할 수 없다고 강조한다 .[3-65]
- 그는 독특한 기여를 하며 목적이 있는 삶을 사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하고, 그 기여가 모든 사람에게 가치 있는 것으로 기억되기를 바란다 .[3-70]
- 문제 해결 접근 방식으로, 목표를 설정한 후 과거를 되짚어보며 결과를 도출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3-72]
- NVIDIA는 인류의 미래를 발전시키는 독창적인 기여를 할 수 있다고 믿으며, 이는 매우 어려운 과정임을 인정한다 .[3-81]
- 과거를 되돌아보았을 때, NVIDIA는 모든 것을 변화시킨 회사로 기억될 것이라고 확신하며, 그들이 잘하는 일을 오랜 시간 동안 해왔음을 강조한다 .[3-86]
4. 🚀 기술 발전과 AI의 도전 과제
- 젠슨 황은 향후 10년간의 비전에서 기술적 도전 과제가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이는 그가 아침에 마주하는 문제들로부터 영향을 받는다고 말했다 .[4-3]
- Nvidia는 다양한 기업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 플랫폼 회사로서, 시장 창출의 어려움을 느끼고 있으며, 혼자서는 이를 해결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4-7]
- 생명공학 분야의 발전이 칩 설계 산업의 과거와 같은 혁신을 이루는 것을 기대하며, 컴퓨터 지원 약물 설계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4-11]
- AI 발전의 두 가지 중요한 breakthrough로는 깊은 학습과 인간 피드백을 통한 강화 학습이 있으며, 이는 시스템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고 설명한다 .[4-30]
- AI의 발전에 따라 사이버 보안 기술이 더 빨리 발전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제품 및 서비스 규제의 필요성을 언급하고 특히 특정 분야의 규제 강화를 요구한다 .[4-43]
5. 결론 🌟 NVIDIA의 성공과 조언
- 일상에서 자신의 목표를 점검하고, 모든 힘을 다해 추구해야 한다는 신념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장기간 동안 이어가야 한다. [5-1]
- 사랑하는 사람들과 함께 그 여정을 나누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5-2]
- NVIDIA의 이야기를 전체적으로 통해 자신의 비전을 지켜나가는 것이 어떻게 성공으로 이어지는지를 보여준다. [5-3]